"사교육 문제는 비단 교육정책만의 문제가 아니다. 출산, 양육, 나아가 국가 존속의 문제다. 저출생 해소를 위해서라도 사교육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선결 과제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7월 22일 국민일보 기고문을 통해 이와 같이 말하며 저출생 대응을 위해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 부위원장은 "지난해 초중고생 사교육비는 연 29조원이다. 10명 중 8명이 학원에 다니며, 학생 1인당 월 47만원이 넘는다. 교육기회는 소득에 따라 나뉘고, 격차는 자녀수 결정에도 영향을 준다. 최근에는 ‘4세 고시’ ‘7세 고시’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한 연구는 학생 1인당 사교육비가 1% 증가할 때 이듬해 합계출산율이 최대 0.26% 포인트 감소한다고 경고했다"며 한국의 사교육 현실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사교육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공교육 강화를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유아부터 초등학생까지 돌봄 필요로 인한 사교육은 유보통합, 초등돌봄, 방과후학교 등으로 해소하고, 중·고교부터 본격화되는 입시수요는 자기주도 학습지원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근본적으로는 사교육을 불러오는 사회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과도한 사교육은 일자리로 향하는 경쟁구조에서 비롯된다"며 "저출생 대응의 마지막 골든타임에 선 지금이 사교육 문제에 대한 논의와 대안 마련을 본격화할 타이밍이다. 사교육 문제를 외면한 채 출산율 반등을 기대할 수 없다. 이 문제는 국가의 생존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아래 기사에서 확인해보세요!
◆ 출산 가로막는 벽, 사교육을 넘자( 국민일보. 7.22.) << 기사 읽기 클릭